1987년 지바현 동쪽 해역 지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87년 지바현 동쪽 해역 지진은 1987년 필리핀해판 내부에서 발생한 규모 6.7의 지진이다. 이 지진은 주향 이동 단층의 단층 메커니즘을 보였으며, 지바현 보소반도 구주쿠리 해안 부근에서 진원 깊이 57.9km로 발생했다. 지바현에서 최대 진도 5를 기록했으며, 2명의 사망자와 다수의 부상자, 건물 피해를 발생시켰다. 1923년 관동 대지진 이후 간토 지방에 큰 피해를 준 지진으로 기록되었으며, 구주쿠리 해변 연안, 도쿄만 연안, 도네강 유역 연안 지역에서 액상화 현상이 관측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보소반도 - 구주쿠리 해변
지바현의 아사히시 교부미 곶에서 이즈미시 다이토 곶까지 66km에 걸쳐 펼쳐진 구주쿠리 해변은 과거 수상 교통 요충지이자 역사적 사건의 무대였으며, 현재는 서핑 명소, 해수욕장, 그리고 지바현립 구주쿠리 자연공원으로 지정되어 보전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 보소반도 - 지바현 제3구
지바현 제3구는 지바시 미도리구와 이치하라시를 관할하는 중의원 선거구로, 1996년 설치 이후 오카지마 부자와 마츠노 히로카즈가 번갈아 당선되었으며 2012년부터는 마츠노 히로카즈가 당선되고 있다. - 1987년 일본 - 다카라즈카 가극단 73기생
다카라즈카 가극단 73기생은 1987년 다카라즈카 음악학교에 입학하여 1989년 졸업한 48명의 단원으로, 타쿠미 히비키, 아마미 유키, 에마오 유우, 시즈키 아사토 등 톱스타 남역과 아사부키 미나미, 고조 마이, 아오야마 유키나 등 개성 있는 여역 스타들을 배출했다. - 1987년 일본 - 국철분할민영화
국철분할민영화는 1987년 일본국유철도의 경영 부실을 해결하기 위해 추진된 개혁으로, 12개의 JR 계열사로 분할되어 효율성 증진을 꾀했으나 안전 문제, 고용 불안 등의 부정적인 측면도 나타났다.
1987년 지바현 동쪽 해역 지진 | |
---|---|
지도 정보 | |
지진 정보 | |
이름 | 1987년 지바현 동쪽 해역 지진 |
일본어 이름 | 千葉県東方沖地震 |
로마자 이름 | Chiba-ken Toho-oki Jishin |
발생 날짜 | 1987년 12월 17일 |
발생 시간 | 11시 08분 16.8초 (일본 표준시) |
UTC 기준 시간 | 1987년 12월 17일 02시 08분 19초 |
진앙 | 지바현 동쪽 해역 |
좌표 | 위도 35.372, 경도 140.519 |
깊이 | 62.9 km |
규모 | 6.7 Mw / 7.3 Me |
진도 | 진도 5- |
최대 진도 지역 | 지바현 가쓰우라시, 지바시, 조시시 |
MMI 진도 | VII |
단층 유형 | 주향 이동 단층 |
지진 유형 | 필리핀해판 내부 지진 (슬래브 내 지진) |
여진 | 기록 없음 |
주요 여진 | 기록 없음 |
ANSS URL | usp0003bbq |
ISC 이벤트 | 450774 |
피해 정보 | |
사망자 | 2명 |
부상자 | 144명 |
재산 피해 | 404억 엔 |
산사태 | 기록 없음 |
영향 지역 | 기록 없음 |
기타 정보 | |
관련 연구 | 오카다 & 카사하라 (1990) 연구에서 1988년 도쿄 동부 지진의 유발 가능성 제기 |
2. 발생 매커니즘
미나미칸토 지역은 제일 위에 북아메리카판이 있고 그 아래 사가미만에서 섭입한 필리핀해판이, 더 아래에는 일본해구에서 섭입한 태평양판이 있는 복잡한 3층형 구조이다.[25] 1987년 지진은 필리핀해판 내부 단층 운동으로 발생한 슬래브 내 지진이다.
간토 지방 남부는 세 개의 판 경계가 있어 복잡하다. 필리핀해판은 사가미 해곡을 따라 오호츠크판 아래로, 난카이 해곡을 따라 유라시아판 아래로 섭입한다. 동쪽으로 가면, 태평양판은 일본 해구를 따라 오호츠크판과 필리핀해판 아래로 섭입한다.[3] 간토 지역 아래 속도 분석 결과, 태평양판과 접촉하는 필리핀해판의 해양 맨틀 암석권 쐐기는 낮은 지진파 속도로 나타나는 것처럼 사문암화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보인다. 사문암화된 부분과 변성되지 않은 맨틀 쐐기의 경계는 수직이며 북북서-남남동 방향으로 뻗어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5]
2. 1. 단층 메커니즘
미나미칸토 지역의 지각 구조는 제일 위에 북아메리카판이 있고 그 아래 사가미만에서 섭입한 필리핀해판이 있으며, 더 아래에는 일본해구에서 섭입한 태평양판이 있는 복잡한 3층형 구조이다.[25] 1987년에 일어난 지진은 필리핀해판 내부 단층 운동으로 발생한 슬래브 내 지진이다.지진은 주향 이동 단층의 단층 메커니즘을 보였으며, 이는 깊이와 함께 필리핀해판 내부의 단층 활동의 결과임을 시사한다. 단층 메커니즘은 두 개의 가능한 단층면을 제시하는데, 하나는 서-동 방향으로 뻗어 남쪽으로 급경사하고, 다른 하나는 북-남 방향으로 뻗어 동쪽으로 급경사한다. 여진 분포는 북북서-남남동 방향의 파열을 시사하며, 이는 거의 북-남 방향의 단층면과 일치하며, 약간의 역단층 성분을 갖는 우수향(오른쪽 수평) 주향 이동 단층 작용을 나타낸다.[3] 이 지진은 필리핀해판 맨틀 쐐기의 두 부분 사이 경계의 일부를 파열시킨 것으로 해석된다.[5]
2. 2. 지진학적 개요
미나미칸토 지역은 북아메리카판 아래에 사가미만에서 섭입한 필리핀해판이 있고, 그 아래에는 일본해구에서 섭입한 태평양판이 있는 복잡한 3층 구조이다.[25] 1987년 지진은 필리핀해판 내부 단층 운동으로 발생한 슬래브 내 지진이다.간토 지방 남부는 세 개의 판 경계가 있어 복잡하다. 필리핀해판은 사가미 해곡을 따라 오호츠크판 아래로, 난카이 해곡을 따라 유라시아판 아래로 섭입한다. 동쪽으로 가면, 태평양판은 일본 해구를 따라 오호츠크판과 필리핀해판 아래로 섭입한다.[3] 간토 지역 아래 속도 분석 결과, 태평양판과 접촉하는 필리핀해판의 해양 맨틀 암석권 쐐기는 낮은 지진파 속도로 나타나는 것처럼 사문암화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보인다. 사문암화된 부분과 변성되지 않은 맨틀 쐐기의 경계는 수직이며 북북서-남남동 방향으로 뻗어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5]
지진은 주향 이동 단층의 단층 메커니즘을 보였으며, 이는 깊이와 함께 필리핀해판 내부 단층 활동의 결과임을 시사한다. 단층 메커니즘은 두 개의 가능한 단층면을 제시하는데, 하나는 서-동 방향으로 뻗어 남쪽으로 급경사하고, 다른 하나는 북-남 방향으로 뻗어 동쪽으로 급경사한다. 여진 분포는 북북서-남남동 방향 파열을 시사하며, 이는 거의 북-남 방향 단층면과 일치하며, 약간의 역단층 성분을 갖는 우수향(오른쪽 수평) 주향 이동 단층 작용을 나타낸다.[3] 이 지진은 필리핀해판 맨틀 쐐기의 두 부분 사이 경계 일부를 파열시킨 것으로 해석된다.[5]
항목 | 내용 |
---|---|
진원 | 지바현 보소반도 구주쿠리 해안 부근 북위 35도 22.5분, 동경 140도 29.6분, 깊이 57.9km |
규모 | 6.7 (Mw 6.7) |
단층 양식 | 역단층 성분을 포함하는 우향 이동 |
전진 | 본진 약 15초 전 M 2.7의 전진 |
쓰나미 | 관측되지 않음 |
아래는 일본 기상청 진도 계급 기준 진도 4 이상을 관측한 행정구역의 목록이다.[26]
1987년 지바현 동쪽 해역 지진으로 지바현을 중심으로 인명 및 재산 피해가 발생했다. 지바현 총무부 소방방재과 자료에 따르면 사망 2명, 중경상 144명, 건물 전파 16동, 반파 102동, 일부 파손 63,692동, 화재 3건이 발생했다.[27] 산사태도 102건이 보고되었다.[28]
관동 지방 남부 지각 구조는 표층 북아메리카 판에 대해 사카미 만(사카미 해구)에서 파고드는 필리핀해 판, 일본 해구에서 파고드는 태평양 판의 3층 구조인데, 이 지진은 필리핀해 판 내부 단층 운동이 발생한 슬래브 내 지진이었다.
3. 각지의 진도
진도 도도부현 시구정촌 5 지바현 가쓰우라시 지바시 조시시 4 이바라키현 이시오카시 미토시 사이타마현 구마가야시 지바현 다테야마시 도쿄도 지요다구 가나가와현 요코하마시 나카구 야마나시현 후지카와구치코정 시즈오카현 아타미시 진도 도도부현 관측소 5 지바현 가쓰우라, 지바, 조시 4 이바라키현 가키오카, 미토 사이타마현 구마가야 지바현 다테야마 도쿄도 도쿄 가나가와현 요코하마 야마나시현 가와구치코 시즈오카현 아타미 3 후쿠시마현 오나하마, 시라카와 도치기현 우쓰노미야, 닛코 군마현 마에바시 사이타마현 지치부 도쿄도 오시마, 하치조지마, 미야케지마, 니이지마 야마나시현 고후 나가노현 이다, 가루이자와 시즈오카현 시즈오카, 미시마
4. 피해
이 지진은 1923년 관동 대지진 및 1924년 단자와 지진 이후 간토 지방에 비교적 넓은 범위에서 피해를 준 지진으로 주목받았다. 특히 구주쿠리 해변 연안, 도쿄만 연안, 도네강 유역 연안 지역에서는 액상화현상이 발생하여 피해가 컸다.[30][31]
당시 방재행정무선은 정보 폭주로 인해 제대로 작동하지 않아 비판을 받았다.[27] 또한, 이즈반도 우사미 온천에서는 지진 후 온천 수온이 상승하는 현상이 발생했다.[20]
4. 1. 주요 피해 지역
지바현의 광범위한 지역에서 진도 5를 관측했으며, 지바현 총무부 소방방재과 자료에 따르면 사망 2명, 중상 26명, 경상 118명, 건물 전파 16동, 반파 102동, 일부 파손 63,692동, 화재 3건이 발생했다.[27] 산사태도 102건이 보고되었다.[28] 피해 중심 지역은 지바현이었지만 가나가와현 미우라반도에서도 산사태로 인한 자동차 매몰 등의 피해가 발생했다.[29]
1923년 관동 대지진과 그 여진인 1924년 단자와 지진 이후 간토 지방에 비교적 넓은 지역에서 피해를 준 지진으로 주목받았다. 지바현 구주쿠리 해변 연안 지역에서 도로 함몰, 산사태, 지붕 기와 붕괴, 벽돌담장 붕괴 등 주택 피해가 발생하였다. 또한 구주쿠리 해변 연안, 도쿄만 연안, 도네강 유역 연안 지역에서는 액상화현상도 발생했다.[30][31]
당시에는 각 시구정촌에 자동형 지진계가 많이 설치되어 있지 않아 최대 진도 5로 기록되었으나, 진앙과 가까운 지자체의 피해 상황으로 볼 때 현재의 일본 기상청 진도 계급 기준 진도 6약 이상의 흔들림이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4. 2. 기타 피해
지바현 광범위한 지역에서 진도 5를 관측했으며, 지바현 총무부 소방방재과 자료에 따르면 사망 2명, 중상 26명, 경상 118명, 건물 전파 16동, 반파 102동, 일부 파손 63,692동, 화재 3건이 발생했다.[27] 산사태도 102건이 보고되었다.[28] 피해 중심 지역은 지바현이었지만 가나가와현의 미우라반도에서도 산사태로 인한 자동차 매몰 등의 피해가 발생했다.[29]
간토 지방의 비교적 넓은 지역에서 피해가 발생한 지진으로는 1923년 관동 대지진과 그 여진인 1924년 단자와 지진 이후 처음으로 간토 지방에 피해를 준 지진으로 주목받았던 지진이다. 지바현 구주쿠리 해변 연안 지역에서 도로 함몰, 산사태, 지붕 기와 붕괴, 벽돌담장 붕괴 등 주택 피해가 발생하였다. 또한 구주쿠리 해변 연안, 도쿄만 연안, 도네강 유역 연안 지역은 액상화현상도 발생했다.[30][31]
당시에는 각 시구정촌에서 자동형 지진계가 많이 설치되어 있지 않아 최대 진도 5로 기록되긴 하였으나, 진앙과 가까운 지자체의 피해 상황으로 볼 때 현재의 일본 기상청 진도 계급 기준 진도 6약 이상의 흔들림이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당시 방재행정무선은 정보의 폭주로 혼란에 빠져 제대로 기능하지 못했다는 비판을 받았다.[27] 지바현 총무부 소방방재과의 자료에 따르면, 사망자는 모바라시 1명, 이치하라시 1명으로 2명이었다.[6] 중상 26명, 경상 118명이 보고되었다.[6][7] 건물 16채가 붕괴되었고, 102채가 심하게 손상되었으며, 63,692채가 경미한 피해를 입었다.[6] 또한 세 건의 화재, 정전, 열차 운행 중단도 보고되었다.[6] 액상화 현상이 매립지 및 강둑에서 관찰되었다.[8] 피해는 대부분 지바현에서 발생했지만, 가나가와현에서도 피해와 산사태가 보고되었다.[8][9][10]
단층의 연장선상에 있는 이즈반도의 우사미 온천에서는 지진 후 온천의 온도 상승이 발생했다.[20]
5. 관련 지질 활동
사가미 해곡에서 섭입하는 해양판인 필리핀해판과 대륙판인 아메리카판의 구주쿠리 연안 판 경계부에는 암반이 천천히 어긋나는 슬로우 슬립 현상이 일어나고 있다. 1983년부터 2014년까지 과거 31년간 평균 약 5년 간격으로 슬로우 슬립이 발생했는데, 1987년 지진은 이 슬로우 슬립 발생 지역의 응력을 줄여 발생을 늦췄을 것으로 추정된다.[32]
간토 지방 남부의 지각 구조는 세 개의 판 경계가 포함되어 있어 복잡하다. 필리핀해판은 사가미 해곡을 따라 오호츠크판 아래로, 난카이 해곡을 따라 유라시아판 아래로 섭입하고 있다. 더 동쪽으로 가면, 태평양판은 일본 해구를 따라 오호츠크판과 필리핀해판 아래로 섭입하고 있다.[3] 간토 지역 아래의 속도 분석 결과, 태평양판과 접촉하는 필리핀해판의 해양 맨틀 암석권 쐐기는 사문암화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보인다. 사문암화된 부분과 변성되지 않은 맨틀 쐐기의 경계는 수직이며 북북서-남남동 방향으로 뻗어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5]
5. 1. 지바현 동쪽 해역의 슬로우 슬립 현상
사가미 해곡에서 섭입하는 해양판인 필리핀해판과 대륙판인 북아메리카판의 구주쿠리 연안 판 경계부에는 암반이 천천히 어긋나는 슬로우 슬립 현상이 일어나고 있다. 이 현상은 1983년부터 2014년까지 31년간 2년 2개월에서 7년 7개월 간격, 평균 약 5년 간격으로 일어나고 있다.[32] 최장 7년 7개월의 활동 간격이 일어났던 때엔 두 간격 사이에 1987년 이 지진이 끼어 있어, 이 지진이 슬로우 슬립 발생 지역의 응력을 줄여 발생을 늦췄을 것으로 추정된다.[32]5. 2. 이즈반도 우사미 온천의 온도 상승
단층의 연장선상에 있는 이즈반도 우사미 온천에서는 지진 후 온천의 온도 상승이 발생했다.[20]참조
[1]
웹사이트
M 6.7 - 10 km SW of Mobara, Japan - Technical Summary
https://earthquake.u[...]
[2]
웹사이트
M 6.7 - 10 km SW of Mobara, Japan
https://earthquake.u[...]
[3]
논문
Earthquake of 1987, off Chiba, central Japan and possible triggering of eastern Tokyo earthquake of 1988
1990
[4]
웹사이트
震度データベース検索
https://www.data.jma[...]
気象庁
2022-04-11
[5]
논문
Cause of M ~ 7 intraslab earthquakes beneath the Tokyo metropolitan area, Japan: Possible evidence for a vertical tear at the easternmost portion of the Philippine Sea slab
2010
[6]
웹사이트
1987年千葉県東方沖地における災害情報の伝達と市町村・住民の対応] 東京大学社会情報研究所廣井研究室
http://www.hiroi.iii[...]
2022-04-11
[7]
간행물
千葉県東方沖地震による山地災害とその対応 -その後
https://doi.org/10.3[...]
1989-1990
[8]
간행물
久保 徹:千葉県東方沖地震に伴う三浦半島の被害状況
https://doi.org/10.3[...]
1987-1988
[9]
웹사이트
Earthquake in Japan kills two, injures 53
https://www.upi.com/[...]
"[[United Press International]]"
2022-04-12
[10]
웹사이트
千葉県東方沖地震
https://typhoon.yaho[...]
2022-04-12
[11]
웹사이트
震度データベース検索
https://www.data.jma[...]
気象庁
2021-07-09
[12]
서적
第2章 噴きあがる砂・飛び散る瓦 -千葉県に戦後最大の被害を及ぼした千葉県東方沖地震-
https://www.pref.chi[...]
千葉県
2015-08-05
[13]
문서
1987年千葉県東方沖地における災害情報の伝達と市町村・住民の対応
http://www.hiroi.iii[...]
東京大学社会情報研究所廣井研究室
[14]
간행물
千葉県東方沖地震による山地災害とその対応 -その後
https://doi.org/10.3[...]
1989-1990
[15]
간행물
久保 徹:千葉県東方沖地震に伴う三浦半島の被害状況
https://doi.org/10.3[...]
1987-1988
[16]
문서
[17]
문서
1987年千葉県東方沖地震による千葉港周辺地域の液状化等について
https://www.pari.go.[...]
港湾空港技術研究所
1988-06
[18]
논문
千葉県東方沖地震による液状化現象とその被害
https://dl.ndl.go.jp[...]
社団法人地盤工学会
1988-12-25
[19]
논문
1987年12月17日千葉県東方沖地震調査 : 震度分布と被害の概要
https://tokyo-metro-[...]
東京都立大学都市研究センター
1988
[20]
문서
1987 年千葉県東方沖地震に伴う宇佐美 24号泉の温度変化
https://cais.gsi.go.[...]
[21]
웹사이트
房総半島沖で「スロー地震」再来
http://www.hinet.bos[...]
防災科学技術研究所
[22]
웹사이트
日本付近のおもな被害地震年代表
https://www.zisin.jp[...]
日本地震学会
[23]
웹인용
第2章 噴きあがる砂・飛び散る瓦 -千葉県に戦後最大の被害を及ぼした千葉県東方沖地震-
https://www.pref.chi[...]
千葉県
2015-08-05
[24]
문서
[25]
웹사이트
2005年千葉県北西部の地震 ─震源メカニズム・強震動─
http://taro.eri.u-to[...]
東京大学地震研究所 強震動グループ
2005年
[26]
웹인용
震度データベース検索
https://www.data.jma[...]
2021-05-18
[27]
문서
1987年千葉県東方沖地における災害情報の伝達と市町村・住民の対応
http://www.hiroi.iii[...]
東京大学社会情報研究所廣井研究室
[28]
간행물
千葉県東方沖地震による山地災害とその対応 -その後
https://doi.org/10.3[...]
1989-1990
[29]
간행물
久保 徹:千葉県東方沖地震に伴う三浦半島の被害状況
https://doi.org/10.3[...]
1987-1988
[30]
문서
1987年千葉県東方沖地震による千葉港周辺地域の液状化等について
https://www.pari.go.[...]
港湾空港技術研究所
1988-06
[31]
논문
千葉県東方沖地震による液状化現象とその被害
https://dl.ndl.go.jp[...]
社団法人地盤工学会
1988-12-25
[32]
웹사이트
房総半島沖で「スロー地震」再来
http://www.hinet.bos[...]
防災科学技術研究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